글로리아 선데이 스쿨 (Gloria Sunday School)

이야기로 배우는 부수한자 25

부수한자-무기=(창 矛모/세워진 창모=찌르는 창의 모양) (방패 干간=y자 모양의 방패 모습) (갈고리 亅 궐= 물건을 매다는 갈고리 모양) (창 戈과=막대기 끝에 낫이나 갈고리가 붙어 있는 창의 모..

무기편=(창 矛모/세워진 창모=찌르는 창의 모양) (방패 干간=y자 모양의 방패 모습) (갈고리 亅 궐= 물건을 매다는 갈고리 모양) (창 戈과=막대기 끝에 낫이나 갈고리가 붙어 있는 창의 모습) (활 弓궁=활을 세워 놓은 모습) (화살 矢시=화살모양. 위쪽이 화살머리이고, 아래쪽이 화살 뒤에 깃털이 붙는 모양이다) (주살弋익=줄이 달린 화살(주살) 또는 말뚝 모양) (이를 至지= 땅(土) 위에 화살(화살 矢시)이 거꾸로 박힌 모습, 화살이 날아와서 땅 위에 이른다는 데에서 '이르다'의 뜻이 되었다.

부수한자 색깔편/(검을 黑흑=먹으로 얼굴에 문신을 새겨 먹색이 검다는 뜻) (글월 文문=몸에 문신을 새긴 사람을 본떠 만든 글자) (매울 辛신=얼굴에 문신을 새길 때 사용하던 침의 모습. 침으..

한자로 색을 알아본다/부수한자 색깔편/(검을 黑흑=먹으로 얼굴에 문신을 새겨 먹색이 검다는 뜻) (글월 文문=몸에 문신을 새긴 사람을 본떠 만든 글자) (매울 辛신=얼굴에 문신을 새길 때 사용하던 침의 모습. 침으로 상처를 내면 몹시 아픈데, 아픔이 맵듯하다는 뜻에서) (붉을 赤적= 큰 불( 灬=火 )이 나서 땅(土)이 붉게 보인다는 뜻.) (푸를 靑청=초목이 싹틀 때(날生생)는 붉으나 (붉을丹단), 자라면서 '푸르게' 된다는 뜻) (누를 黃황=옛 중국의 귀족들이 허리에 차던 누런색의 옥 장신구 모습. 주로 발음으로 쓰인다) (검을 玄현= 실 糸사자를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 '검다' '묘하다'는 뜻)

부수한자-주거환경 편/(기와 瓦와=지붕위에 포개져 있는 기와의 모습) (조각 片편=통나무를 두 쪽으로 쪼갠 오른 쪽 모양.) (나무조각 爿장=통나무를 두 쪽으로 쪼갠 왼쪽모양. 또는 잠자는 침..

생활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운 보다 고급스러운 문화를 누리게 되었다' 부수한자-주거환경 편/(기와 瓦와=지붕위에 포개져 있는 기와의 모습) (조각 片편=통나무를 두 쪽으로 쪼갠 오른 쪽 모양.) (나무조각 爿장=통나무를 두 쪽으로 쪼갠 왼쪽모양. 또는 잠자는 침상 모양을 세로로 나타낸 것) (안석 几궤=몸을 기대는 방석인 안석의 모양. '책삭'이란 뜻) (붓 聿율=손( 크)으로 붓(ㅣ)을 잡고 있는 모습) (피리 籥약=여러개의 피리를 묶어 놓은 모습) (그물 网망= 물고기를 잡는 그물의 모양)